삼국지/그림으로 보는 삼국지
-
[그림으로 보는 삼국지] #1. 제천지도원결의 (祭天地桃園結義)삼국지/그림으로 보는 삼국지 2021. 8. 15. 16:06
祭天地桃園結義 제천지도원결의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복숭아 밭(도원)에서 의형제를 맺다. 184년 동한 말기. 한 왕조는 외척과 환관 세력에 둘러싸여 무능과 부패가 극에 달했다. 굶주림과 질병, 강제노역, 끝나지 않는 수탈에 내몰려 의지할 곳 하나 없던 말세의 민심은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열망에 목말랐다. 그 틈으로 한중(漢中) 지방의 오두미도(五斗米道)와 거록(巨录) 지방의(巨录) 태평도(太平道)등, 종교 세력이 질병치유를 바탕으로 민간에 들불처럼 번져 나간다. 십수 년간 이루어진 교세 확장 과정에서 오두미도는 그동안의 세력을 바탕으로 한중 지방에제정(祭政) 일치의 독자세력을 구축하고, 이내 한 왕조 아래에서 봉건 세력으로 자리매김한다. 이와는 다르게 태평도(太平道)는 부패한 정권에 대항하는 정치세력으로 ..
-
그림책으로 만들어진 삼국지, 어떤 판본이 있을까?삼국지/그림으로 보는 삼국지 2021. 8. 15. 00:01
역사서 『삼국지』가 소설 『삼국지연의』가 되고, 또 그림책 『삼국지』가 되고, 그리고 또... 285년, 서진(西晉)의 진수(陳壽)가 기전체(紀傳體)로 쓴 역사서 『삼국지』를 세상에 내 놓았다. 진수의 『삼국지』는 진(晉)이 오(吳)를 멸하고 삼국을 통일한지 5년만에 완성한 만큼, 동시대의 역사가가 써내려간 역사서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다만 그 내용이 간략하여 아쉬움이 있었기에 남북조시대 송(宋)나라의 문제(文帝)가 『삼국지』에 주를 달아 내용을 보충하도록 했다. 이 일을 맡은 배송지(裴松之)는 140여종의 사서를 풍부하게 인용하여 429년에 『삼국지』의 주(注)를 완성한다. 본문의 몇배가 되는 방대한 분량으로 난세를 살아간 인물들과 그들의 일화를 다각적으로 조명하게 된것이다. - * 진수(陳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