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
[단어장] 吳裝, 오장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2022. 5. 5. 14:35
【뜻】 - 용필은 기운생동하데 반해 색칠은 담하고 맑은 오도자의 회화양식. - 오도자의 특징을 따르는 화풍. - 성당시기(712-781) 조각에서 오도자의 회화양식을 모방한 것. *오도자 (吳道子, 680-759) : 당(唐)의 저명한 화가. 민간 화공으로 불교사원의 벽화를 그리며 명성을 얻었는데, 당 현종이 발탁하여 관직에 올라 황제 주변에서 그림을 그리게 되었다. 인물을 잘 그려 화성(畵聖)이라 칭송받았고, 이에 현종이 도현(道玄)이라는 이름을 하사하여 오도현(吳道玄)으로 개명했다. 장안과 낙양 일대의 사원에 3백 폭이 넘는 벽화를 그렸고, 벽화로 제작한 산수화도 다수 있었으나 당무종의 폐불 정책(9c)으로 모두 유실되어 기록으로 전할 뿐이다. 일부 백묘 모본이 전하고 있어 그의 화풍을 유추할 수 있..
-
[단어장] 皴, 준, texture stroke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2022. 3. 16. 14:21
【뜻】 산수화에서 대상을 묘사할 때 입체감, 양감,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표면에 필선을 더하는 기법이다. 준법은 표현을 위해 자연스럽게 나타난 필묵의 조합이이다. 이를 준이라 칭하고 최초로 기록한 사람은 북송(北宋)의 곽희(郭熙)였다. 준법은 진한(秦漢) 시대(秦漢) 평행 곡선으로 산악문(山岳文)을 표현하는 초기 산수화 단계에서 자연주의 경향이 강해진 성당(盛唐) 시기에 이르러 다양해졌다. 이후 실경을 바탕으로 남북 산수화의 뚜렷한 구분이 생겨난 오송대(五宋代)를 거치며 준의 표현은 더욱 풍성해 졌다. 원, 명, 청대에도 그 종류는 꾸준히 증가하했다. 【종류】 준법 설명 대표화가 피마준 披麻皴 / 마피준麻披皴 베(麻) 섬유를 풀어 헤친듯한 모양. 토산을 표현함. 동원, 거연 조맹부, 황공망 난마준 亂麻皴..
-
[단어장] 劉李馬夏유이마하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2022. 3. 9. 16:29
【뜻】 유송년(劉松年), 이당(李唐), 마원(馬遠), 하규(夏珪). 중국 남송 사대가. 필선이 노련하고 대범하여 창경한 수묵의 경지를 이루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금이 북송을 정벌하고 송나라의 문화유산을 모두 약탈하여 교범으로 삼을만한 전통회화가 모두 소실되었다. 모사를 통해 선배 화가의 정수 공부하는 전통 속에서 화원화가들은 새로운 모델을 찾기 시작했다. 그들은 동시대 화가 중에서도 산수에 탁월한 성취를 이룬 이당의 그림을 모범으로 삼았고, 특히 유송년, 마원, 하규가 뛰어났으므로 유이마하(劉李馬夏)라 했다. 이당의 그림을 배웠음을 강조하여 이유마하(李劉馬夏) 라고도 한다. ▶순서대로 유이마하(유송년, 이당, 마원, 하규) ▶유송년(劉松年, ?-?): 남송의 화원화가. 전당(저장성 항주) 사람. 광종 때..
-
[단어장] 墨戲 묵희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2022. 3. 1. 16:55
【뜻】 필묵으로 유희하는 놀이. 문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수묵화를 즐기는 것. 기법에 매이지 않고 마음 가는 대로 분방하게 그림을 그리는 제작 태도. 사물의 닮음보다 사물에 담긴 뜻과 작가의 정신을 중시하는 태도. 【예시1】 북송, 황정견(黃庭堅) 『산곡제발山谷題跋』, 권 8 「제동파수석題東坡水石」 東坡墨戲,水活石潤,與今草書三昧。 동파묵희,수활석윤,여금초서삼매。 소동파의 묵희는, 물이 흐르고 바위가 윤택하여, 초서삼매와 같다. * 黃庭堅(황정견, 1045-1105) : 중국 북송의 시인. 자는 노직(魯直), 호는 산곡(山谷). 소식 문하의 일인자. 소식과 함께 소·황(蘇·黃)으로 칭해져 북송 시인을 대표한다. * 三昧(삼매) : 불교에서 마음을 한 가지 일에 집중시키는 일심불란(一心不亂)의 경지. 【예시 ..
-
[단어장] 荊關董巨형관동거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2021. 3. 23. 14:52
【뜻】 형호荊浩, 관동關同, 동원董源, 거연巨然. 오대(五代, 907-960)에서 북송(北宋, 960-1127) 초기, 예술의 성과를 대표하는 네 사람을 일컫는 말. 만당 시기(836-907)의 산수 회화 발전은 그 변화의 폭이 이전 시대에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현저한 것이었다. 오대 시기 화가들은 바로 뒤를 이어 더욱 자연에 몰두하며 수묵화와 사실적인 묘사 능력을 향상해 나갔다. 이를 바탕으로 화가들은 북방의 험준한 산과 강남의 수려한 풍광을 구분하여 표현했고, 뚜렷한 특징에 따라 산수화는 북방 산수화와 남방 산수화 두 갈래로 나뉘어 발전하게 되었다. 형관동거의 형관, 즉 형호와 관동은 웅건하고 험준한 북방산수 화풍을 대표하고, 동거, 즉 동원과 거연은 강남지방의 화가로 서정적인 남방산수를 대표한다...
-
[단어장] 詩意圖 시의도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2020. 12. 27. 17:30
【뜻】 시의도는 시의 내용이나 분위기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그림에 시문을 적어 마무리 함으로써, 시와 그림이 하나의 예술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미술 양식이다. 원대의 문인화가들이 그림에 시를 직접 써넣기 시작하면서 시서화(詩書畵) 삼절(三絶)의 이상을 추구하는 경향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인화풍은 동시대의 고려 후기 문인들에 의해 수용되어 점차 심화되었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부상했다. 18c의 남종 문인화풍은 중인 출신의 직업화가들도 즐겨 그리는 하나의 예술 양식으로 자리 잡는다.
-
[단어장]自知 자지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2020. 12. 1. 21:35
【뜻】자신의 역량을 스스로 아는 것.자신을 분명히 아는 것(自己明了). 자연히 스스로를 이해하는 것(自然知晓). 자신을 잘 아는 사람은 다른 사람을 원망하지 않고, 명운(命运)을 아는 사람은 하늘을 원망하지 않는다. 출처: 도덕경 33장에 나오는 말. 《老子》第三十三章 知人者智, 自知者明, 勝人者有力, 自勝者强 지인자지 자지자명 승인자유력 자승자강 知足者富, 强行者有志, 不失其所者久, 死而不亡者壽 지족자부 강행자유지 부실기소자구 사이불망자수 다른사람을 아는것은 지혜로운 것이요, 나를 아는 것은 밝은것이다. 다른사람을 이기는 것은 힘이 있는 것이고, 자신을 이기는 것은 강한것이다. 만족할줄 아는 것이 넉넉한 것이요, 힘써 실천하는 것에 뜻이 있는 것이다. 자신의 자리를 잃지 않는것이 오래 머무르는 것이고,..
-
[단어장] 戲墨 희묵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2020. 11. 23. 12:05
【뜻】 먹으로 장난함.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림. 자기의 그림이나 글씨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 墨戲(묵희) : 묵에 의한 놀이. 문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수묵화를 즐기는 것. 기법에 매이지 않고 마음가는대로 분방하게 그리는 제작태도. 사물의 닮음보다 사물에 담긴 뜻과 작가의 정신을 중시한다. 【예시】 梅花道人戲墨 (매화도인희묵) : 원말 화가 오진이 제시의 말미에 즐겨 사용함. 梅道人戲墨 (매도인 희묵) : 원말 화가 오진이 제시의 말미에 즐겨 사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