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보 樹譜 - 제가고수법 諸家枯樹法
    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본문읽기 2022. 11. 7. 17:15
    728x90

     

     

    諸家枯樹法
    제가고수법 
    여러 대가들이 잎이 없는 나무를 그리는 법. 

     

    * 諸家(제가) : 여러 대가(大家)

    * 枯樹 : 잎이 떨어진 나무. 잎이 없는 나무.

     

     

     

    【풀이】

    「범관수법 范寬樹法」 / 「임류독좌도臨流獨坐圖」부분, 비단에 수묵담채, 156.1x106.3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范寬樹法
    범관수법
    범관의 수법.

     

    * 范寬 (범관, 967?-1027?) : 자(字)는 중립(仲立). 북송 초 산수화가. 성품이 대범하고  호방하여 사람들이 범관이라 불렀다. 형호와 이성을 배웠으나 그림은 닮지 않았다. 그림을 그려감에 사람을 배우는 것이 자연을 배우는 것만 못하다는 생각에, 사람보다는 사물을, 사물보다는 마음을 스승으로 삼고자 했다. 잡욕을 버리고 산수에 전념했으며, 산을 온전히 체험하고 사유하여 산 전체를 통찰하는 화풍을 이루었다.

     

     

     

    「곽희수법 郭熙樹法」 / 「운산행려도 雪山行旅圖」부분, 비단에 수묵담채, 139.9x67.5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추산행려도 秋山行旅圖」부분, 비단에 수묵담채, 119.6x61.3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郭熙樹法
    곽희수법
    곽희의 수법.

     

    * 郭熙(곽희, 11C) : 북송의 산수화가. 하양(河陽) 온현(溫縣) 사람. 자는 순부(淳夫). 동시대에 실기와 이론이 모두 유명했다. 신종(神宗, 1048-1085)이 총애하여 궁 내외에 많은 그림을 그렸다. 대표작으로는 「조춘도 早春圖」가 있고, 저서로는 평소 실천하고 이야기하던 화론을 아들이 모아 엮은 『임천고치(林泉高致)』가 있다. 어려서부터 도가의 학문을 즐겼고, 중년 이후 이성의 필묵을 배우며, 선배 화가들의 화법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대가에 구속되지 않고 스스로 일가를 이루었으니, 젊은 날 정교했던 그림은 만년이 되어 갈수록 더욱 성숙하여 정묘 해졌다. 90 세 신선 노인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붓을 놓지 않았다.

     

     

     

    「왕유수법 王維樹法」 / 「산음도 山陰圖」 부분, 26.3x84cm, 비단에 채색, 대만국립고궁 박물원

    王維樹法多用雙勾,卽藤梢樹杪亦絲毫不苟,後信世昌亦爲之。
    왕유수법다용쌍구,즉등초수묘역사호불구,후신세창적위지。
    왕유의 수법은 쌍구법을 많이 사용했는데, 즉 등나무의 끝부분과 나무의 끝자락 역시 조금도 소홀하지 않았다. 후세의 신세창 역시 그러했다.

     

    * 王維(왕유, 699-759) : 당(唐)의 시인, 음악가, 화가, 화론가. 자는 마힐(摩詰). 상서우승(尚書右丞)의 벼슬을 하여 왕우승이라 불린다. 산수를 잘 그렸는데 채색과 수묵을 모두 섭렵한 이후에 시정이 깃든 발묵과 파묵으로 남종 문인화의 시조가 되었다. 왕유의 시와 그림은 서로 상통하는 바가 있어 '그림 속에 시가 있고, 시 속에 그림이 있다'는 평을 들었다. 중국 문학사에서 왕유는 시불(詩佛)이라 불리며 시선(詩仙)-이백, 시성(詩聖)-두보와 함께 3대 거장으로 추앙받는다. 만년에는 전생에 화가였을 것이라 말하며 그림에 전념한다.

    * 雙勾(쌍구) : 쌍구(雙鉤). 두 개의 외곽선으로 형태를 그리는 법. 

    * 信世昌(신세창) : 원대 산수화가. 자는 운보(雲甫). 자호는 중은(中隠). 심사원(沈士元)에게 그림을 배웠는데 출람(出藍)이었다.

     

     

     

    「마원수법 馬遠樹法」 / 「설경 雪景」, 256.3x101.7cm, 종이에 수묵담채, 대만국립고궁박물원

     

    馬遠樹法
    마원수법
    마원의 수법.

     

    * 馬遠(마원, 12c후반 ~ 13c초반) : 남송의 화원화가. 자는 요부(遙父), 호는 흠산(欽山). 산수, 화조 인물에 능함. 화면의 주제를 한쪽으로 몰아 배치하는 구도법을 잘 써서 마일각(馬一角)이라 불림. 남송 광종(光宗), 영종(寧宗), 이종(理) 연간(1189-1264)에 화원의 지후(祗候)와 대조(待詔)를 역임함. 회화 명문가 자제로, 증조부 마분(馬賁), 조부 마흥조(馬興祖), 백부 마공현(馬公顯), 부친 마세영(馬世榮)이 모두 화원의 대조를 역임했다. 형인 마규(馬逵) 역시 그림을 잘 그려 가업을 이었다. 

     

     

     

    「소조고수법 蕭昭枯樹法」 / 「연중목풍수법 燕仲穆風樹法」

    蕭昭枯樹法
    소조고수법
    소조의 나무 그리는 법.

     

    * 蕭照(소조, 12c전반) : 남송의 화원화가. 자는 동생(東生). 당시 금(金)으로 압송 중이던 이당(李唐, 1066-1150)이 탈출하여 태행산에서 소조를 만나게 된다. 소조는 이당에게 그림을 배워 사제지간이 되었고, 훗날 두 사람 모두 남송의 화원에 선발되었다. 

     

     

    燕仲穆風樹法
    연중목풍수법
    연숙(燕肃, 961-1040)이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그리는 법.

     

    * 燕仲穆(연중목) : 연숙(燕肃, 961-1040)을 말함. 자가 목(), 중목(仲穆). 학식이 깊고 천문 물리에 정통함. 시와 그림이 경지에 올랐으며 문인화의 선구자가 되었다.

     

     

     

    「가구사 수법 柯九思樹法」 / 冊 『역대명회 歷代名繪』, 「고목죽석 枯木竹石」, 28.4x27.2cm, 종이에 수묵,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하산욕우 夏山欲雨」, 132.3x47cm, 종이에 수묵, 대만국립고궁박물원

    柯九思樹法
    가구사수법
    가구사의 수법.

     

    가구사(柯九思, 1290~1343?) : 원대 문인 화가로 묵죽화에 뛰어남. 이름난 수장가로 주요 작품에서 그의 인장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음. 조맹부와 함께 서예를 그림으로 끌어들이는 문예운동에 동참함.

     

     

     

    「조운서수법 曹雲西樹法」 / 「정송백설헌도 貞松白雪軒圖」 부분, 125.9x49.7cm, 종이에 수묵,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송림평원 松林平遠」, 28.4x27.2cm, 종이에 수묵, 대만국립고궁박물원

    曹雲西樹法
    조운서수법
    조지백이 나무를 그리는 법.

     

    * 조지백(曹知白, 1272~1355) : 원대 문인화가. 자는 우원(又元), 호는 운서(雲西). 글재주와 둑을 쌓는 관개(灌漑) 기술자로 유명함. 산수, 고목, 죽석을 잘 그렸다.

     

     

     

    「이당수법 李唐樹法」 / 「목우도 牧牛圖」 부분, 23.6 x 24.5cm, 비단에 수묵담채, 북경고궁박물원 / 冊 『집고명회 集古名繪』, 「강간소사 江干蕭寺」, 27.4x22cm, 비단에 수묵담채, 대만국립고궁박물원

    李唐樹法
    이당수법

     

    이당이 나무를 그리는 법..

     

    李唐(이당, 1066-1150) : 송의 화원화가, 자는 희고(晞古). 산수, 인물, 소 그림에 능함. 금의 침략으로 북송을 떠나 항주로 갔으며, 산세와 기후가 다른 북송과 남송을 아울러 산수화 교량 역할을 함.

     

     

    반응형

     


    【참고도서】

    『介子園畵譜全集』, 대만문화도서공사, 1979

    이원섭, 홍석창 역, 「完譯介子園畵傳」,능성출판사,1997

    이림찬, 장인용 역, 「중국미술사」, 다비치, 2017

     

     

    【사진출처】

    http://gmzm.org/gudaizihua/jieziyuan/index.asp?page=65 

     

    GMZM.ORG | 光明之门高清原版古籍在线阅读 古代字画图册古籍在线图书馆 古籍欣赏

     

    gmzm.org

     

    https://digitalarchive.npm.gov.tw/Painting/Content?pid=45&Dept=P 

     

    宋范寬臨流獨坐圖 軸

    內容簡介(英文) Fan K’uan(style name Chung-li) was a native of Shensi. He first followed Li Ch’eng in landscape painting but also studied the works of Ching Hao. Later, he developed his own style. He was known for his magnanimous and forthrigh

    digitalarchive.npm.gov.tw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