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보 樹譜 - 제가엽수법 諸家葉樹法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본문읽기 2022. 11. 11. 13:14728x90
諸家葉樹法
제가엽수법여러 대가들이 잎이 있는 나무를 그리는 법.
* 諸家(제가) : 여러 대가(大家)
* 葉樹 : 잎이 있는 나무.
【풀이】
倪雲林樹法
예운림수법예찬의 수법.
* 倪雲林(예운림) : 원대 화가 예찬 (倪瓚, 1301-1374)을 말함. 자는 원진(元鎭), 현영(玄瑛) . 호는 운림(雲林), 운림자(雲林子), 운림생(雲林生) 등. 원말 사대가중 가장 많은 작품을 남겼다. 먹을 금처럼 아껴 최소한의 붓질로 간결한 그림을 그렸다. 화면의 빈 공간에는 쓸쓸함이 가득하여 담담하고 간결한 품격을 이루었다.
「예운림수법 倪雲林樹法」 / 「풍락오강도 楓落吳江圖」 부분, 종이에 수묵,94.3x48.8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계정산색도 溪亭山色圖」부분, 종이에 수묵, 129.9x52.6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吳仲圭樹法
오중규수법
沈石田嘗摹之
심석전상모지오진의 수법
일찍이 심석전이 그를 모사했다.* 吳仲圭(오중규) : 원의 화가 오진 (吳鎭, 1280~1354)을 말함. 자는 중규(仲圭), 호는 매화도인(梅花道人), 매도인(梅道人), 매사미(梅沙彌) 등. 젊은 시절 유교, 불교, 도교의 경전을 공부하고 시문 서화를 즐김. 남송 이후 몽골족이 지배하는 정치상황에서 자신의 능력을 펼칠 수 없음을 받아들이고 태호(太湖)의 물가에 은거하는 삶을 선택.
* 沈石田(심석전) : 명나라 문인화가 심주(沈周, 1427~1509)를 말함. 자는 계남(啓南), 호는 석전(石田), 백석옹(白石翁), 옥전생(玉田生), 유죽거주인(有竹居主人) 등. 대대로 서화를 애호하는 가정환경에서 자라 시서화에 능했다. 평생 벼슬하지 않고 당인(唐寅, 1470-1524), 문징명(文徵明, 1470-1559), 구영(仇英, 1494?-1552)과 함께 명사대가가 되었다.
「오중규수법 吳仲圭樹法」 / 오진, 「동정어은도 洞庭漁隱图」부분, 종이에 수묵, 146.4x58.6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심주, 『사경책 寫景冊』, 「벽강행주 碧江行舟」부분, 종이에 수묵, 34x59.2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황자구수법 黃子久樹法 」 黃子久樹法
황자구수법
雲林亦爲之
운림역위지황공망의 수법.
예찬 역시 그러했다.* 黃子久(황자구) : 원대화가 황공망(黃公望, 1269-1354)을 말함. 자(字)는 자구(子久), 호는 대치도인(大癡道人), 일봉도인(一峰道人) 등. 조맹부를 만나 50이 넘어 그림을 배웠고 동원과 거연을 배워 원말 사대가가 되었다. 상숙의 우산, 저장성 부춘산 일대의 풍경을 많이 그렸는데, 도교에 심취하여 부춘산에 은거했다. 79세에 그린 「부춘산거도권 富春山居圖卷」은 중국 산수화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저서로 『사산수결寫山水訣』, 『대치산인집 大癡山人集』 등이 있다.
황공망, 『집고도회 集古圖繪』, 「반계어은 磻溪漁隱」부분, 종이에 수묵, 47x29.3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황공망, 「부춘산거도 富春山居圖」부분, 종이에 수묵, 32.9x589.2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1338 * 雲林(운림) : 원대 화가 예찬 (倪瓚, 1301-1374)을 말함.
예찬, 「추림야흥도 秋林野興圖」부분, 종이에 수묵, 98.1x68.9cm, 메트로폴리탄미술관, 1339 / 예찬, 『송원명집회 宋元明集繪』, 「춘산제색 元倪瓚春山霽色」 부분, 종이에 수묵, 31.8x66.8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예찬, 『예찬화보 倪瓚畫譜』, 「신지고간우죽 新枝枯幹雨竹」, 종이에 수묵, 23.6x14.2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黃子久樹法
황자구수법
樹固要轉而枝不可繁,枝頭要斂不可放,樹頭要放不可緊。
수고요전이지불가번,지두요염불가방,수두요방불가긴나무는 본디 자유자재한 상태가 중요한데 가지는 번잡하지 않아야 한다. 가지의 끝은 오므려 움츠러들어야 하고, 풀어두어서는 안 된다. 나무의 끝은 풀어 놓아야 하고 긴장하여 오그라들어서는 안된다.
* 轉(구를 전) : 구르다 회전하다. 구속과 방해가 없는 상태. 자유자재(自在) 한 상태.
황공망, 「부춘산거도 富春山居圖」부분, 종이에 수묵, 32.9x589.2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1338 / 황공망, 「부춘산거도 富春山居圖」부분, 종이에 수묵, 33x636.9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1350 梅花道人樹法
매화도인수법
要欝森。其妙處在樹頭參着,一出一入一肥一瘦。以木炭畫圈,隨圈點之。
요울삼。기묘처재수두참착,일출일입일완일수。이목탄화권,수권점지울창하고 빽빽함이 중요하다. 묘한 점은 나무 끝이 가지런하지 않으면서, 하나는 나오고 하나는 들어가고 하나는 두텁고 하나는 여윈 데에 있다. 목탄으로 윤곽을 그리고, 윤곽을 따라 거기에 점을 찍는다.
* 梅花道人(매화도인): 원의 화가 오진 (吳鎭, 1280~1354)을 말함.
* 欝森(울삼) : 수목이 무성함. 나무가 빽빽하게 우거짐.
* 參(참여할 참) : 가지런하지 않은 모양.
「매화도인수법 梅花道人樹法」 / 오진, 「하산욕우도 夏山欲雨圖」부분, 비단에 수묵, 47.2x451.6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반응형
【참고도서】
『介子園畵譜全集』, 대만문화도서공사, 1979
이원섭, 홍석창 역, 「完譯介子園畵傳」,능성출판사,1997
【사진출처】
http://gmzm.org/gudaizihua/jieziyuan/index.asp?page=69
GMZM.ORG | 光明之门高清原版古籍在线阅读 古代字画图册古籍在线图书馆 古籍欣赏
gmzm.org
https://digitalarchive.npm.gov.tw/Painting/Content?pid=45&Dept=P
宋范寬臨流獨坐圖 軸
內容簡介(英文) Fan K’uan(style name Chung-li) was a native of Shensi. He first followed Li Ch’eng in landscape painting but also studied the works of Ching Hao. Later, he developed his own style. He was known for his magnanimous and forthrigh
digitalarchive.npm.gov.tw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45635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45635
www.metmuseum.org
728x90반응형'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 > 본문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보 樹譜 - 제가고수법 諸家枯樹法 (0) 2022.11.07 수보 樹譜 - 협엽급착색구등법 夾葉及着色鉤藤法法 (0) 2022.11.01 수보 樹譜 - 점엽법 點葉法 (3) 2022.10.31 수보 樹譜 - 수법 樹法 (9). 매화서족점법 梅華鼠足點法 / 국화점법 菊花點法 / 호초점법 胡椒點法 (0) 2022.10.28 수보 樹譜 - 수법 樹法 (8). 함포화법 含苞畵法 / 영풍취세화법 迎風取勢畵法 / 수지법 垂枝法 / 근하친첩소수법 根下襯貼小樹法 / 수중친첩소류법 樹中襯貼疎柳法 (0) 2022.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