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상청앵도 馬上聽鶯圖] - 김홍도가 그리고 이인문이 감상하다.차분하게 그림 읽기 2020. 11. 27. 23:45728x90
【그림】
<마상청앵馬上聽鶯>은 말 위에서 꾀꼬리 소리를 듣는다는 뜻이다. 화면의 중앙에 말을 타고 가는 사람과 시동은 고개를 돌려 어딘가를 쳐다보고 있다. 두 사람의 시선을 따라가 보면 황금빛 꾀꼬리 한쌍이 들려주는 봄의 소리를 마주하게 된다. 제목에 담긴 뜻을 화면에 남김없이 표현하고 있어서 감상자의 시각과 청각은 봄의 색과 소리를 상상할 수 있다. 겨울로 들어서는 11월 말이면 바구니 가득 귤(밀감)을 담아놓고 돌아올 봄의 색과 소리를 그리게 된다.
이 그림은 김홍도가 그리고 이인문이 시를 지었다. 서체가 단원의 글씨이므로 단원이 직접 제발 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인문이 지은 시를 단원이 옮겨 쓴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한 듯하다. 두 사람은 도화서의 동갑내기 친구로 오랜 시간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며 교류했다. 이인문은 김홍도의 여러 작품에 시를 남겼고, 단원 역시 이인문의 작품 <송하담소도(松下談笑圖)>에 제시를 남겨 서로의 우정과 예술의식을 고양시켰다.
*김홍도(金弘道, 1745년 ~?) : 조선 후기 화가,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 단구(丹邱), 서호(西湖), 고면거사(高眠居士), 취화사(醉畵士), 첩취옹(輒醉翁).
*이인문 (李寅文, 1745~?) : 조선 후기 화가, 자는 문욱(文郁), 호는 유춘(有春),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觀道人), 기성유수고송관도인(碁聲流水古松館道人), 송수관도인(松水館道人), 도인(道人), 자연옹(紫煙翁),
【題跋】
佳人花底簧千舌, 韻士樽前柑一雙。
가인화저황천설, 운사준전감일쌍。
曆亂金梭楊柳岸, 惹烟和雨織春江。
역란금사양류애, 야연화우직춘강。
碁聲流水古松館道人 李文郁證
기성유수고송관도인 이문욱증
檀園寫
단원사
꽃 아래 가인의 무성한 생황 소리, 시인의 술잔 앞에 밀감과 짝이 되는 듯하다.
(금빛 꾀꼬리) 금북이 버드나무 언덕을 어지러이 오가니, 아지랑이와 봄비가 어우러져 춘강을 직조하네.
바둑 소리, 흐르는 물, 늙은 소나무가 있는 집의 도인 이문욱(이인문)이 증명하다.
단원이 그리다. (옮기다.)
* 花底 (꽃 화, 밑 저) : 당의 시인 두보(杜甫)의 작품 중 하나. 봄 꽃을 두 가인(佳人), 반안(潘安)과 위개(衛介)의 용모에 비유하며 그 아름다움이 시들어 떨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을 노래한 시.
* 簧 생황
* 千 : 초목이 무성한 모양
* 金梭 (쇠 금, 북 사) : 금북. 북은 베를 자는 도구. 베틀에서 날실의 틈으로 왔다 갔다 하면서 씨실을 푸는 기구. 봄에 가지를 죽죽 늘어뜨린 버드나무 가지 사이를 이리저리 날아다니는 꾀꼬리와 날실 사이를 오가며 베를 짜는 금북을 비유함. 버드나무를 앵수(鶯樹)라고 부르기도 함.
* 文郁 : 李寅文의 자
【印】
① 弘道 (홍도)
② 士能 (사능) : '마음이 한결같은 선비만이 할 수 있다’는 뜻. 맹자(孟子)의 「양혜왕장구상(梁惠王章句上)」의 한 구절에서 따 온 말.
無恒産而有恒心者惟士爲能
무항산이유항심자유사위능
일정한 재산이 없어도 한결같은 마음을 유지하는 것은 오직 선비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③心醉好求(심취호구) : 단원 김홍도의 만년 시절 보이는 유인. 마음이 취하여(심취하여) 구하는 것을 좋아하다.
【감상하기】
www.youtube.com/watch?v=gSQvXHuUl3I
【참고도서】
「간송문화 제70호」, 한국민족미술연구소 발행, 결출판사, 2006
【소장처】 간송문화재단
【사진출처】 문화재청 국가 문화유산 포털
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19700000,11&pageNo=1_1_1_0
terms.naver.com/entry.nhn?docId=975223&cid=46721&categoryId=46879
728x90반응형'차분하게 그림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정시의도권 草亭詩意圖券] - 吳鎭 (오진, 1280~1354) (0) 2020.12.13 [송하담소도 松下談笑圖] - 이인문이 그리고, 김홍도가 쓰다. (0) 2020.12.04 吳鎭 (오진, 1280~1354) : 노화한안도 芦花寒雁圖 (0) 2020.11.13 吳鎭 (오진, 1280~1354) : 노탄조정도 蘆灘釣艇圖 (0) 2020.11.04 吳鎭 (오진, 1280~1354) : 어부도 (魚父圖), 1342년작 (0) 2020.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