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吳鎭 (오진, 1280~1354) : 노화한안도 芦花寒雁圖차분하게 그림 읽기 2020. 11. 13. 23:22728x90
갈대꽃과 가을 기러기를 그린 노화한안도(芦花寒雁图)는 전경의 갈대숲, 중경의 바위, 원경의 먼 산이 모두 수평으로 배치되어있다. 이는 좁고 긴 화폭에서 넓은 강의 전경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구도이다.
무성한 갈대꽃 사이에서 헤매는 작은 배 위에는 고개들어 먼 하늘을 바라보는 어부가 있다. 그의 몸은 바다를 향하고, 그의 눈은 하늘을 향해 있다. 작가는 전경의 갈대수풀 사이에 어부를 배치하여 감상자가 어부의 시선을 따라 화면의 풍경 속으로 들어 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있다.
元, 吴镇, 노화한안도 芦花寒雁图, 비단에 수묵, 83.3x27.8cm, 북경고궁박물원 【自跋】
點點青山照水光,飞飞寒雁背人忙。
점점청산조수광,비비한안배인망
衝小浦,转横塘,蘆花两岸一朝霜。
충소포 전횡당,로화양안일조상
점점이 청산이 비치는 물빛, 날아오르는 가을 기러기 너머로 분주한 사람.좁은 포구를 향하여 가로놓인 방죽을 돌아가니, 양쪽 언덕의 갈대꽃이 아침서리와 같네.
*芦花(갈대 노, 꽃 화) 갈대꽃
*點點 ①점점이, 낱낱의 점, ②드문드문하다. 듬성듬성하다. ③(아주 작은 어떤 것들이)촘촘하다. 빽빽하다.
*寒 : 절기의 이름.
*朝霜(아침 조, 서리 상) ①아침에 내리는 서리, ②태양이 보이면 사라지기 때문에 유한한 존재에 대한 은유로 사용된다.
[语出] 삼국 위(魏) 조식(曹植) 《송응씨 送应氏》 두 번째 시.
天地无终极, 人命若朝霜。
천지무종극, 인명약조상。
천지는 끝이 없고, 인생은 아침이슬과 같다.][语出] 진(晋) 육기(陆机) 《단가행 短歌行》
人寿几何, 逝如朝霜。
인수기하, 서여조상。
사람의 목숨이 그 얼마인가, 아침 서리와같이 떠날것을.[语出] 청(清) 金德开 《홍엽 红叶 (단풍잎)》诗
最艷朝霜后, 尤妍夕照中。
최염조상후, 우연석조중
가장 아름다운 아침 서리 이후, 더욱 고운 석양빛이 이루어진다]
【作者印】梅華盦、嘉興吳鎮仲圭書畫記
매화암、가흥오진중규서화기
【收藏印】
怡亲王宝、黄氏仲明、虚斋审定
이친왕보、황씨중명、허재심정*怡亲王(이친왕1686~1730) : 청의 4대 황제 강희제의 13번째 황자(皇子).
【사진출처】
www.dpm.org.cn/collection/paint/231418.html
吴镇芦花寒雁图轴 - 故宫博物院
吴镇(1280—1354年),字仲圭,号梅花道人,浙江嘉兴人。早年研习儒、释、道经典,后往来杭州、嘉兴地区,卖卜为生,以诗文书画自娱,终生不仕。其画以山水、墨竹著称,为"元四家"之一。善
www.dpm.org.cn
728x90반응형'차분하게 그림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하담소도 松下談笑圖] - 이인문이 그리고, 김홍도가 쓰다. (0) 2020.12.04 [마상청앵도 馬上聽鶯圖] - 김홍도가 그리고 이인문이 감상하다. (1) 2020.11.27 吳鎭 (오진, 1280~1354) : 노탄조정도 蘆灘釣艇圖 (0) 2020.11.04 吳鎭 (오진, 1280~1354) : 어부도 (魚父圖), 1342년작 (0) 2020.11.02 吳鎭 (오진, 1280~1354) : 어부도 (魚父圖), 1342년작 (0) 2020.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