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어장] 皴, 준, texture stroke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단어장 2022. 3. 16. 14:21728x90
【뜻】
산수화에서 대상을 묘사할 때 입체감, 양감,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표면에 필선을 더하는 기법이다. 준법은 표현을 위해 자연스럽게 나타난 필묵의 조합이이다. 이를 준이라 칭하고 최초로 기록한 사람은 북송(北宋)의 곽희(郭熙)였다.
준법은 진한(秦漢) 시대(秦漢) 평행 곡선으로 산악문(山岳文)을 표현하는 초기 산수화 단계에서 자연주의 경향이 강해진 성당(盛唐) 시기에 이르러 다양해졌다. 이후 실경을 바탕으로 남북 산수화의 뚜렷한 구분이 생겨난 오송대(五宋代)를 거치며 준의 표현은 더욱 풍성해 졌다. 원, 명, 청대에도 그 종류는 꾸준히 증가하했다.【종류】
준법 설명 대표화가 피마준 披麻皴 / 마피준麻披皴 베(麻) 섬유를 풀어 헤친듯한 모양.
토산을 표현함.동원, 거연
조맹부, 황공망난마준 亂麻皴 피마준이 무질서한 모양.
베(麻) 섬유가 흐트러진 모양.황공망, 곽희 직찰준 直擦皴 직각으로 세운 붓을 마찰시켜 그리는 동양화 기법. 관동, 이성 우점준 雨點皴
지마준 芝麻皴빗방울 모양.
참깨모양.두판준 頭瓣皴 우점준(雨點皴) 보다 형태가 큼.
먼 산을 그릴때 사용범관 자리준 刺梨皴 두판준에서 유래 거연 권운준 券雲皴
운두준 雲頭皴이성, 곽희 해삭준
解索皴직해삭
直解索밧줄이나 새끼줄을 푼 듯, 선이 모여 이루어진 모양.
왕몽이 더욱 굴불구불하게 가늘고 긴 모양으로 변화시켜 유사요공법(游絲袅空法) 이라 칭함.범관, 왕몽 등
다수의 화가횡해삭
橫解索우모준 牛毛皴 소의 털 모양.
둥근 바위를 표현.
산림의 무성함 표현.왕몽, 조맹부 난시준 亂柴皴 흐트러진 나뭇가지 모양.
난마준과 유사하나 시작점에서 힘을주어 마디의 느낌을 살리는 것이 특징.원의 화가들이 다른 준법과 혼용하여 사용. 하엽준 荷葉皴 연잎 줄기 모양. 조맹부, 동원, 왕유 철선준 鐵線皴 唐대 절대준 折帶皴 붓을 눕혀 횡선을 긋고 끝에 각을 이루어 반복함. 예찬 마아준 馬牙皴 말의 이빨 모양. 이당 마아구준 馬牙鉤皴 청록산수에 사용 이사훈, 조백구 반두준 礬頭皴 산 정상에 작은 돌이 무더기를 이룬 것.
백반 덩어리 모양.동원, 거연, 오진 귀면준 鬼面皴
귀검준 鬼臉皴형호
원대화가탄와준 彈渦皴 울퉁불퉁한 산이나 암석 표현. 염차평, 오진 고루준 骷髏皴
파망준 破網皴오위 정두준 釘頭皴 타니대수준 拖泥帶水皴 미불 괄철준 括鐵皴 이리발정준 泥裏拔釘皴 강삼 부벽준 釜劈皴 소부벽준 小斧劈皴 작은 도끼로 찍어낸 모양. 이사훈, 이소도
이당, 유송년대부벽준 大斧劈皴 도끼로 찍어낸 모양.
붓의 측봉 사용.이당, 마원, 하규 장부벽준 長釜劈皴 비를 뿌리듯 길고 강하게 찍어내려 우림장두준 雨淋墻頭皴 이라고도 함. 허도녕 대수부벽준
帶水斧劈皴하규 인준 鳞皴 소나무 껍질 표현. 교차피마준 交叉披麻皴 버드나무 껍질 표현. 점찰횡준 點擦橫皴 매화나무 껍질 표현. 횡준 橫皴 오동나무 껍질 표현. 728x90
【참고도서】
이림찬, 장인용 역, 「중국미술사」, 다비치, 2017
천촨시, 김병식 역, 「중국 산수화사 2」, 심포니, 2014
북경 중앙미술학원 미술 사계 중국미술사 교연실 편저, 박은화 역, 「간추린 중국 미술의 역사」, 시공사, 2006728x90반응형'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 > 단어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어장] 吳裝, 오장 (0) 2022.05.05 [단어장] 劉李馬夏유이마하 (0) 2022.03.09 [단어장] 墨戲 묵희 (0) 2022.03.01 [단어장] 荊關董巨형관동거 (0) 2021.03.23 [단어장] 軸,卷,冊 축,권,책 (0) 2021.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