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북창시유량풍지 北窓時有凉風至] - 북창에 서늘한 바람이 불어올 때
    차분하게 그림 읽기 2020. 12. 26. 13:37
    728x90

     

     

    최북, 北窓時有凉風至 북창시유량풍지, 지본채색 24.2x32.3cm 국립중앙박물관

     

     

     

    책과 술병이 가득한 벽장이 열려있고, 이어서 방안의 문이 바깥으로 열려있다. 작가는 크고 작은 문을 열어 크게 두 번의 시선 이동을 의도했고, 그 동선의 끝에 시를 적어 감상자의 시선이 한동안 머물 수 있도록 했다. 최북이 화제로 인용한 시문은 원(元)의 서화가 조맹부(趙孟頫 1254-1322)의 『송설재집 松雪齋集』에 실려있고, 원문의 마지막 두 구절을 화제로 삼았다.

     

     

    【題跋 제발】 조맹부의 시를 인용.

    北窓時有凉風至 
    북창시유량풍지
    閑寫黃庭一兩章 
    한사황정일량장
    북쪽 창에 때가 되어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니
    한가로이 황정경 한 두 장 베껴본다.

     

    毫生館
    호생관
    붓으로 먹고사는 사람.

     

     

    【印】 

    毫生館 (호생관)

     

     

    【조맹부의 원시】 

     

    古墨輕磨滿几香 고묵경마만궤향
    硯池新浴燦生光 연지신욕찬생광
    北窓時有凉風至 북창시유량풍지
    閑寫黃庭一兩章 한사황정일량장
    오래된 먹을 가볍게 갈아내니 책상에 먹향이 가득하고
    벼루를 새로 씻으니 찬연히 빛이 나네
    북쪽 창에 때가 되어 서늘한 바람이 불어오니
    한가로이 황정경 한 장, 두 장 베껴본다.



    * 硯池 [벼루 연, 못 지] : 벼루 앞쪽에 오목하게 패인 부분.

    * 生光 : 빛이 남.

    * 黃庭(황정) : 黃庭經(황정경)을 말함. 중국 위진시대(魏晉) 도교 경전으로 양생(養生)과 수련(修練)의 원리를 담고 있는 주요 경서. 서성(書聖)으로 불리는 왕희지(307~365)가 베껴서 거위와 바꾸었다는 황제외경경(黃帝外景經)을 말한다. 

    왕희지가 베겨 쓴  황정경

     

    * 조맹부(趙孟頫 1254-1322) : 원대 화단을 이끌었던 서화가. 그림 제작에 서예를 끌어들이고 고의(古意)를 중시했다. 자는 자앙(子昂), 호(號)는 송설(松雪), 송설도인(松雪道人), 송설재(松雪齋), 별호는 구파(鷗波), 구파정(鷗波亭), 수정궁도인(水精宮道人) 등. 오흥(吳興, 지금의 절강성 호주) 사람.

     

     

     

     


     

    이 그림은 『제가화첩 諸家畵帖』의 마지막 장에 수록된 최북의 시의도(詩意圖)이다. 

     

    시의도는 시의 내용이나 분위기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그림에 시문을 적어 마무리 함으로써, 시와 그림이 하나의 예술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미술 양식이다. 원대의 문인화가들이 그림에 시를 직접 써넣기 시작하면서 시서화(詩書畵) 삼절(三絶)의 이상을 추구하는 경향이 한층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인화풍은 동시대의 고려 후기 문인들이 수용하여 점차 심화되었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부상했다.

     

    18c 중후반, 중인 신분의 직업화가였던 최북의 호는 호생관(毫生館)으로 '붓으로 먹고사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명칭의 사용으로 직업화가의 정체성을 분명히 드러내면서도, 최북은 문기(文氣) 어린 시의도를 즐겨 그렸다. 그의 그림을 애호하던 문인들이 남긴 몇몇 기록에는 자유로운 영혼, 광기 어린 예술가의 면모가 부각되지만 그가 남긴 다수의 시의도에서는 작가 스스로 추구하던 지식인의 면모가 드러난다. 18c의 남종 문인화풍은 신분에 상관없이 당대 지식인들이 널리 추구하는 하나의 예술 양식으로 자리 잡아 더 이상 양반들의 전유물이 아니게 되었다.

     

     『제가화첩 諸家畵帖』 표지와 내지.

     

    * 『제가화첩 諸家畵帖』은 최북의 그림 9점, 심사정의 그림 2점, 강세황의 화평으로 구성된 화첩이다.

    * 최북(崔北, 1712~1786?) : 18c 중후반 조선 후기 직업화가. 본관은 무조, 초명은 식(埴), 자는 성기(聖器), 유용(有用), 칠칠(七七), 호는 호생관(毫生館), 월성(月城), 성재(星齋), 기암(箕庵), 거기재(居基齋), 삼기재(三奇齋), 좌은재(坐隱齋) 등. 산수를 잘 그려 최산수(崔山水), 메추라기를 잘 그려 최순(鶉) 즉, 최메추라기라는 별명이 있음. 

     

     

     

     

     

     

    반응형

     

    【감상하기】
    https://youtu.be/EvWuUoenGXA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958

     

    제가화첩 | 소장품 검색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

    blog.naver.com/bhjang3/140050513136

     

    ◈ 황정경(黃庭經) -왕희지가 배껴쓴 36장 전문-번역문.

    왕희지가 배겨쓴 황정경. ◈ 황정경(黃庭經) -36장 전문-번역문. 황정경 (黃庭經)이란도가(道家)의 경문으...

    blog.naver.com

     

    【참고도서】

    「호생관毫生館 최북崔北」, 국립 전주박물관, 2012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