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종 分宗 - 청재당화학천설 靑在堂畫學淺說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본문읽기 2020. 9. 23. 11:13728x90
[原文]
禪家南北二宗,於唐始分。畫家亦有南北二宗,亦於唐始分,其人實非南北也。北宗則李思訓父子,傳而爲宋之趙幹,趙伯駒,伯驌,以至馬遠,夏彦之(夏珪)。南宗則王摩詰,始用渲澹,一變鉤斫之法。其傳爲張璪,荊浩,關仝,郭忠恕,董源,巨然,米氏父子,以至元之四大家,亦如六祖之後 馬駒雲門也。
[飜譯]
선가에 남, 북 두 갈래가, 당대(唐代)에 비로소 나뉘었다. 화가 역시 남, 북 두 갈래가 있는데, 역시 당대(唐代)에 비로소 나뉘었고, 그들의 출신이 남과 북인 것은 아니다. 북종은 곧 이사훈 부자가, 전하여 송대(宋代) 조간, 조백구, 백숙이 되어, 마원, 하언지(하규)에 이르렀다. 남종은 곧 왕마힐(王維)이, 비로소 선담(渲澹)을 써서, 구작(鉤斫)의 법을 일변시켰다. 그것이 전하여 장조, 형호, 관동, 곽충서, 동원 거연, 미씨부자가 되고, 원의 사대가에 이르렀으니, 이 또한 육조대사의 뒤에 마조, 운문이 오는 것과 같다.
[解釋]
禪家南北二宗,於唐始分。
선가남북이종,어당시분。
선가에 남, 북 두 갈래가, 당대(唐代)에 비로소 나뉘었다.
* 禪家 : 불교의 선종. 제5조 홍인대사(弘忍大師, 601~674)의 제자 신수(神秀, ?~706)와 혜능(惠能, 638~713)이 각각 북종과 남종으로 분파함. 신수가 북방인 이었고, 혜능이 남방인 이었다.
畫家亦有南北二宗,亦於唐始分,其人實非南北也。
화가역유남북이종,역어당시분,기인실비남북야。
화가 역시 남, 북 두 갈래가 있는데, 역시 당대(唐代)에 비로소 나뉘었고, 그들의 출신이 남과 북인 것은 아니다.
* 實 [열매 실] 바탕, 본질
北宗則李思訓父子,傳而爲宋之趙幹,趙伯駒,伯驌,以至馬遠,夏彦之(夏珪)。
북종즉이사훈부자,전이위송지조간,조백구,백숙,이지마원,하언지(하규)。
북종은 곧 이사훈 부자가, 전하여 송대(宋代) 조간, 조백구, 백숙이 되어, 마원, 하언지(하규)에 이르렀다.
* 李思訓父子 : 이사훈(李思訓, 651-716), 이소도(李昭道, 675-758) 부자. 부자는 산수화 쌍벽을 이루며 대이장군(大李將軍), 소이장군(小李將軍)으로 불렸다.
* 趙幹 (조간, 961~975) : 남당 강녕(江寧, 지금의 장쑤 성南京) 사람, 화원의 학생을 지냄. 강남 풍경을 그렸고 포경布景에 뛰어났다.
* 趙伯駒 (조백구, 남송) : 송이 종실로 태조의 7 세손, 자는 千里, 산수화, 화과, 영모를 잘 그렸다.
* 趙伯驌 (조백숙, 남송) : 자는 희원(希遠), 형 조백구와 함께 양조(兩趙) 형제로 불린다.
* 馬遠 (마원, 12c후반 ~ 13c초반) : 남송 하중 사람 (河中, 지금의 산시 성), 자는 흠산(欽山). 산수, 화조 인물에 능함. 화면의 주제를 한쪽으로 몰아 배치하는 구도법을 잘 써서 마일각(馬一角)이라 불린다. 남송 광종(光宗) 영종(寧宗) 대에 화원의 대조가 되었다.
* 夏彦之(하언지, 12c후반 ~ 13c초반) : 하규(夏珪)를 말함. 남송 전당 사람 (錢塘, 지금의 저장성), 자는 우옥(禹玉). 산수에 능함. 그림의 주제를 한쪽 변으로 몰아 배치하는 것을 즐겨 하반변(夏半邊)이라 불렸다. 남송 영종과 이종(理宗) 대에 화원의 대조가 되었다.
南宗則王摩詰,始用渲澹,一變鉤斫之法。
남종즉왕마힐,시용선담,일변구작지법。
남종은 곧 왕마힐(王維)이, 비로소 선담을 써서, 구작의 법을 일변시켰다.
* 渲澹 [바림 선, 맑을 담] 엷은 먹으로 겹쳐 칠하는 기법.
* 鉤斫 [갈고리 구, 벨 작] 이소도에 의해 창안한 윤곽의 선묘.
* 王摩詰 (왕마힐, 699-759) : 왕유(王維)를 말함. 파묵과 발묵이 특징.
其傳爲張璪,荊浩,關仝,郭忠恕,董源,巨然,米氏父子,以至元之四大家,亦如六祖之後 馬駒雲門也。
기전위장조,형호,관동,곽충서,동원,거연,미씨부자,이지원지사대가,역여육조지후 마조운문야。
그것이 전하여 장조, 형호, 관동, 곽충서, 동원 거연, 미씨 부자가 되고, 원의 사대가에 이르렀으니, 이 또한 육조대사의 뒤에 마조, 운문이 오는 것과 같다.
* 張璪/藻 (장조, 8c 후반) : 장조 원외(張璪員外), 장원 외(張員外)로 불린다. 자는 문통(文通). 수묵산수에 뛰어남.
* 荊浩(형호, 五代) : 泌水사람, 자는 호연(浩然), 호는 홍곡자(洪谷子), 산수 수석 화가, 화론가, 산수화 이론서 필법기 저술. 경전과 역사에 정통한 사대부, , 육요를 제시하여 사혁의 육법을 발전시켰다.
* 關仝(관동, 五代) : 장안 사람,형호의 추종자, 추산과 한림도(秋山寒林圖)를 즐겨 그림.
* 郭忠恕 (10c 후반) : 자는 서선(恕先), 그림은 관동(關仝)을 배웠다.
* 董源 (동원, 943?~962) : 남당 종릉(鍾陵, 현재 장쑤 성 남경) 출신,자는 숙달(叔達), 일명 북원(北苑), 물을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
* 巨然 (거연, 10c 후반) : 남당 금릉(金陵) 개원사(開元寺) 승려, 동원의 추종자, 피마준을 사용하여 흙산을 표현. 물기 많은 필묵이 특징.
* 米氏父子 : 미불(米芾 1051-1107, 자는 원장元章), 미우인(米友仁 1072-1151, 자는 원휘元暉), 아버지를 대미(大米), 아들을 소미(小米)라고 불렀다. 수묵의 미점(米點)으로 간략하게 완성하는 미가 산수는 수묵산수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다. 북종화의 웅장한 화풍과 대비된다.
* 六祖慧能 (제6조 혜능, 638~713), 남종선(南宗禪)의 시조, 조계대사(曹溪大師), 대감선사(大鑑禪師)라고도 한다.
* 馬駒大師 혜능대사의 삼대 법손.
* 雲門大師 (?~949) 혜능대사의 팔대 법손. 휘(諱)는 문언(文偃). 운문종의 개조다.
참고도서
「介子園畵譜全集」, 대만 문화도서 공사, 1979
이원섭, 홍석창 역, 「完譯介子園畵傳」, 능성 출판사, 1997
장언원 외 지음, 김기주 역, 「중국화론선집「중국화론 선집」, 미술문화, 2007
이림찬 지음, 장인용 역, 「중국미술사」, 다비치, 2017
사진출처
gmzm.org/gudaizihua/jieziyuan/index.asp?page=26
painting.npm.gov.tw/Painting_Page.aspx?dep=P&PaintingId=51
minghuaji.dpm.org.cn/author/list?keyword=%E8%B5%B5%E4%BC%AF
728x90반응형'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 > 본문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가 成家 - 청재당화학천설 靑在堂畫學淺說 (0) 2022.02.15 중품 重品 - 청재당화학천설 靑在堂畫學淺說 (0) 2022.02.13 삼품 三品 - 청재당화학천설 靑在堂畫學淺說 (0) 2020.09.21 십이기 十二忌 - 청재당화학천설 靑在堂畫學淺說 (0) 2020.09.19 삼병 三病 - 청재당화학천설 靑在堂畫學淺說 (0) 2020.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