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분종 分宗 - 청재당화학천설 靑在堂畫學淺說
    개자원화보 芥子園畵譜/본문읽기 2020. 9. 23. 11:13
    728x90

    芥子园画传.初集.5卷.王概等编.清康熙年间彩色套印本_页面

     

     

    [原文]

     

    禪家南北二宗於唐始分畫家亦有南北二宗亦於唐始分其人實非南北也北宗則李思訓父子傳而爲宋之趙幹趙伯駒伯驌以至馬遠夏彦之(夏珪)南宗則王摩詰始用渲澹一變鉤斫之法其傳爲張璪荊浩關仝郭忠恕董源巨然米氏父子以至元之四大家亦如六祖之後 馬駒雲門也

     

     

     

    [飜譯]

     

    선가에 남, 북 두 갈래가, 당대(唐代)에 비로소 나뉘었다. 화가 역시 남, 북 두 갈래가 있는데, 역시 당대(唐代)에 비로소 나뉘었고, 그들의 출신이 남과 북인 것은 아니다. 북종은 곧 이사훈 부자가, 전하여 송대(宋代) 조간, 조백구, 백숙이 되어, 마원, 하언지(하규)에 이르렀다. 남종은 곧 왕마힐(王維), 비로소 선담(渲澹)을 써서, 구작(鉤斫)의 법을 일변시켰다. 그것이 전하여 장조, 형호, 관동, 곽충서, 동원 거연, 미씨부자가 되고, 원의 사대가에 이르렀으니, 이 또한 육조대사의 뒤에 마조, 운문이 오는 것과 같다.

     


     

    [解釋]

     

    禪家南北二宗於唐始分

    선가남북이종,어당시분

     

    선가에 남, 북 두 갈래가, 당대(唐代)에 비로소 나뉘었다.

     

     

    * 禪家 : 불교의 선종. 제5조 홍인대사(弘忍大師, 601~674)의 제자 신수(神秀, ?~706)와 혜능(惠能, 638~713)이 각각 북종과 남종으로 분파함. 신수가 북방인 이었고, 혜능이 남방인 이었다.


    畫家亦有南北二宗亦於唐始分其人實非南北也

    화가역유남북이종역어당시분기인실비남북야

     

    화가 역시 남, 북 두 갈래가 있는데, 역시 당대(唐代)에 비로소 나뉘었고,  그들의 출신이 남과 북인 것은 아니다. 

     

     

    * 實 [열매 실]  바탕, 본질


    北宗則李思訓父子傳而爲宋之趙幹趙伯駒伯驌以至馬遠(夏珪)

    북종즉이사훈부자전이위송지조간조백구,백숙,이지마원,하언지(하규)

     

    북종은 곧 이사훈 부자가, 전하여 송대(宋代) 조간, 조백구, 백숙이 되어, 마원, 하언지(하규)에 이르렀다.

     

     

    * 李思訓父子 : 이사훈(李思訓, 651-716), 이소도(李昭道, 675-758) 부자. 부자는 산수화 쌍벽을 이루며 대이장군(大李將軍), 소이장군(小李將軍)으로 불렸다.

     

    [좌] 唐, 李昭道, 봉래궁궐도蓬萊宮闕圖卷, 비단에 채색, 53.1x431.5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우] 唐人, 명황행촉도明皇幸蜀圖, 비단에 채색, 55.9x81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이사훈 이소도 양식을 보여주는 작자미상의 그림)

     

     

    * 趙幹 (조간, 961~975) : 남당 강녕(江寧, 지금의 장쑤 성南京) 사람, 화원의 학생을 지냄. 강남 풍경을 그렸고 포경布景에 뛰어났다.

     

    五代南唐, 趙幹, 강행초설도 江行初雪圖卷, 비단에 채색, 25.9x376.5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趙伯駒 (조백구, 남송) : 송이 종실로 태조의 7 세손, 자는 千里, 산수화, 화과, 영모를 잘 그렸다. 

    * 伯驌 (조백숙, 남송) : 자는 희원(希遠), 형 조백구와 함께 양조(兩趙) 형제로 불린다. 

     

    [좌] 宋代, 趙伯驹, 강산추색도 江山秋色图卷, 55.6 x 323.2cm, 북경고궁박물원 / [우] 南宋, 趙伯骕, 만송금궐도 万松金阙图,비단에 채색,27.7cmx136cm,북경고궁박물원

     

     

    * 馬遠 (마원, 12c후반 ~ 13c초반) : 남송 하중 사람 (河中, 지금의 산시 성), 자는 흠산(欽山). 산수, 화조 인물에 능함. 화면의 주제를 한쪽으로 몰아 배치하는 구도법을 잘 써서 마일각(馬一角)이라 불린다. 남송 광종(光宗) 영종(寧宗) 대에 화원의 대조가 되었다. 

    * 夏彦之(하언지, 12c후반 ~ 13c초반) :  하규(夏珪)를 말함. 남송 전당 사람 (錢塘, 지금의 저장성), 자는 우옥(禹玉). 산수에 능함. 그림의 주제를 한쪽 변으로 몰아 배치하는 것을 즐겨 하반변(夏半邊)이라 불렸다. 남송 영종과 이종(理宗) 대에 화원의 대조가 되었다. 

     

    [좌] 宋, 馬遠, 산경춘행 山徑春行, 비단에 채색, 27.4x43.1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가운데] 宋, 馬遠, 대월도 對月圖, 비단에 채색, 149.7x78.2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우] 宋, 夏珪, 귀도도 歸棹圖, 비단에 채색 ,   126.9x57.2, 대만국립고궁박물원


    南宗則王摩詰始用渲澹一變鉤斫之法

    남종즉왕마힐,시용선담,일변구작지법

     

    남종은 곧 왕마힐(王維)이, 비로소 선담을 써서, 구작의 법을 일변시켰다.

     

     

    * 渲澹 [바림 선, 맑을 담] 엷은 먹으로 겹쳐 칠하는 기법.

    * 鉤斫 [갈고리 구, 벨 작] 이소도에 의해 창안한 윤곽의 선묘.

    * 王摩詰 (왕마힐, 699-759) : 왕유(王維)를 말함. 파묵과 발묵이 특징.

     

    唐, 王維, 강간설의도 江干雪意圖卷, 비단에 채색, 24.8x162.8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其傳爲張璪荊浩關仝郭忠恕董源巨然米氏父子以至元之四大家亦如六祖之後 馬駒雲門也

    기전위장조,형호,관동,곽충서,동원,거연,미씨부자,이지원지사대가,역여육조지후 마조운문야

     

    그것이 전하여 장조, 형호, 관동, 곽충서, 동원 거연, 미씨 부자가 되고, 원의 사대가에 이르렀으니, 이 또한 육조대사의 뒤에 마조, 운문이 오는 것과 같다.

     

     

    * 張璪/藻 (장조, 8c 후반) : 장조 원외(張璪員外), 장원 외(張員外)로 불린다. 자는 문통(文通). 수묵산수에 뛰어남.

    * 荊浩(형호, 五代) : 泌水사람, 자는 호연(浩然), 호는 홍곡자(洪谷子), 산수 수석 화가, 화론가, 산수화 이론서 필법기 저술. 경전과 역사에 정통한 사대부, , 육요를 제시하여 사혁의 육법을 발전시켰다.

    * 關仝(관동, 五代) : 장안 사람,형호의 추종자, 추산과 한림도(秋山寒林圖)를 즐겨 그림.

     

    [좌] 唐, 張璪, 구당삼협 瞿唐三峽, 비단에 채색,  57.5x40.8,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가운데] 五代梁, 荊浩, 광려도匡廬圖, 비단에 수묵, 185.8x106.8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우] 五代梁, 關仝, 산계대도도 山谿待渡圖, 비단에 담채, 156.6x99.6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郭忠恕 (10c 후반) : 자는 서선(先), 그림은 관동(關仝)을 배웠다.

    * 董源 (동원, 943?~962) : 남당 종릉(鍾陵, 현재 장쑤 성 남경) 출신,자는 숙달(叔達), 일명 북원(北苑), 물을 본격적으로 그리기 시작.

    * 巨然 (거연, 10c 후반) : 남당 금릉(金陵) 개원사(開元寺) 승려, 동원의 추종자, 피마준을 사용하여 흙산을 표현. 물기 많은 필묵이 특징. 

     

    [좌] 宋, 郭忠恕, 山水圖, 비단에 담채, 53x72.2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가운데] 五代南唐, 董源, 소상도 潇湘图, 비단에 채색, 50x141.4cm, 북경고궁박물원 / [우] 五代南唐, 巨然, 추산문도도 秋山問道圖, 비단에 담채, 156.2x77.2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米氏父子 : 미불(米芾 1051-1107, 자는 원장元章), 미우인(米友仁 1072-1151, 자는 원휘元暉), 아버지를 대미(大米), 아들을 소미(小米)라고 불렀다. 수묵의 미점(米點)으로 간략하게 완성하는 미가 산수는 수묵산수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다. 북종화의 웅장한 화풍과 대비된다. 

     

    [좌] 宋, 米芾, 춘산서송도 春山瑞松圖, 종이에 수묵,  35x44.1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 [가운데, 우] 宋, 米芾, 운산병자서발권 雲山並自書跋卷, 종이에 수묵, 20.9x204.9cm, 대만국립고궁박물원 
    北宋, 米友仁, 소상기관도권 潇湘奇观图卷 ,종이에 수묵, 19.8x289cm,  북경 고궁박물원


     

    * 六祖慧能 (제6조 혜능, 638~713), 남종선(南宗禪)의 시조, 조계대사(曹溪大師), 대감선사(大鑑禪師)라고도 한다.

    * 馬駒大師 혜능대사의 삼대 법손.

    * 雲門大師 (?~949) 혜능대사의 팔대 법손. 휘(諱)는 문언(文偃). 운문종의 개조다. 


    참고도서

     

    「介子園畵譜全集」, 대만 문화도서 공사, 1979

    이원섭, 홍석창 역, 「完譯介子園畵傳」, 능성 출판사, 1997

    장언원 외 지음, 김기주 역, 「중국화론선집「중국화론 선집」, 미술문화, 2007

    이림찬 지음, 장인용 역, 「중국미술사」, 다비치, 2017

     

    사진출처

     

    gmzm.org/gudaizihua/jieziyuan/index.asp?page=26

     

    GMZM.ORG | 光明之门高清原版古籍在线阅读 古代字画图册古籍在线图书馆 古籍欣赏

     

    gmzm.org

    painting.npm.gov.tw/Painting_Page.aspx?dep=P&PaintingId=51

     

    五代南唐趙幹江行初雪圖 卷

    藏品類型 繪畫 作品號 故-畫-000964-00000 品名 五代南唐趙幹江行初雪圖 卷 作者 趙幹,Zhao Gan 書體 色彩 設色 裝裱形式 卷 創作時間 數量 一卷 作品語文 集叢號 件:   開:   幅: 單件 釋文 【位

    painting.npm.gov.tw

    minghuaji.dpm.org.cn/author/list?keyword=%E8%B5%B5%E4%BC%AF

     

    画家列表-故宫名画记

     

    minghuaji.dpm.org.cn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